상부위장관 썸네일형 리스트형 [전공의] 상부 위장관 출혈, 재출혈 50대/남자, hematemesis로 내원하였고 시행한 위내시경에서 위 체부에 궤양과 노출된 혈관이 있어 내시경적 지혈술을 시행하였다. 1일 후 다시 hematemesis가 발생하였을 때 적절한 조치는? ① 내시경 지혈술을 다시 시도② 위 부분 절제술③ Angiography④ 미주신경 절단술⑤ 복부 CT 정답 : ① 내시경 지혈술을 다시 시도 대부분의 출혈이 있는 소화성 궤양은 수액 공급, 수혈, PPI, 내시경 시술로 조절될 수 있습니다. 만일 재출혈이 발생한다면 대부분의 경우 수술을 바로 하지 않고 다시 내시경 시술을 시도합니다. 그 이유는 두 번째 시도하였을 때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이 상당히 있고 수술보다 위험성이 낮기 때문입니다. ②위 부분 절제술을 바로 시행하지 않으며 ㉮ 반복적인 내시경 치료에.. 더보기 [전공의] 상부 위장관 출혈, 시행할 검사 60대/남자, 평소 일주일에 3-4회 정도 소주 1-2병을 마신다고 하며 melena를 주소로 내원하였다. 다음으로 시행할 검사는 무엇인가? WBC 5000/mm3, Hb 8.7 g/dL, PLT 98000/mm3 ① 위내시경 ② 대장내시경③ 복부 초음파 ④ S결장 내시경⑤ 복부 엑스레이 정답 : ① 위내시경 Melena와 Hb 8.7 g/dL로 보아 상부 위장관 출혈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. Melena는 혈액이 최소 14시간, 3-5일 정도 위장관에 존재했음을 나타내는데 출혈한 곳이 좀 더 상부일수록 melena가 더 잘 생깁니다. Hematemesis 또한 ‘ligament of Treitz’ 위쪽인 상부 위장관 출혈을 나타냅니다. Melena와 hematemesis 모두 1차적으로 위내시경 검사를 .. 더보기 [전공의] 상부 위장관 출혈, Mallory - Weiss tears 50대/남자, 음주 후 구토와 토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. 시행한 위내시경 검사에서 Mallory - Weiss tears로 진단되었다. 이 환자에서 가장 먼저 일어나는 변화는? ① 의식 저하 ② 혈압 저하③ 심박수 증가 ④ 헤모글로빈 감소⑤ 창백한 얼굴 정답 : ③ 심박수 증가 위장관 출혈 환자의 첫 접근은 ‘심박수’와 ‘혈압’ 측정입니다.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출혈은 ㉮ 심박수 또는 혈압의 자세에 따른 변화 ㉯ 빈맥 ㉰ 누워 있는 상태에서의 혈압 저하를 일으킵니다. 심박수 증가는 혈압저하 이전에 선행되는 위장관 출혈의 첫 징후입니다. ①의식 저하는 많은 양의 출혈이 진행된 경우에 나타날 수 있으며 ②혈압 저하는 초기 출혈의 징후이지만 심박수 증가 이후에 나타납니다. ④헤모글로빈 감소는 급성 출혈에서 급.. 더보기 이전 1 다음